본문 바로가기
정보사리

자기앞수표 유효기간 10일이 진짜일까?

by 일호1111 2020. 10. 10.
반응형

자기앞수표 유효기간

제가 처음 수표라는 것을 봤던게 대학생 시절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할 때 손님이 내민 수표 1장이었습니다. 그때만 해도 카드 사용보다는 현금 사용이 훨씬 더 많았는데 그럼에도 수표라는 것 자체가 흔하게 사용되는 편이 아니었습니다. 한장당 금액이 크다보니 부자들이 들고 다니는 것이 수표라고 생각되기도 했었습니다. 하지만 요즘에는 현금 사용률이 크게 낮아지고 카드 결제가 활성화되면서 수표를 구경하는 것 자체가 꽤나 힘들어지게 되었습니다. 큰 금액은 5만원 지폐로 준비를 하거나 아니면 그냥 계좌로 이체하는 것이 훨씬 더 편하고 안전하기 때문입니다. 하지만 그럼에도 수표는 현재까지도 엄연히 지폐처럼 사용되는 화폐의 일종입니다. 또 특이하게 특별한 유효기간이 없는 일반 지폐와 달리 별도의 유효기간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. 오늘 포스팅에서는 자기앞수표 유효기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자기앞수표 유효기간 얼마나 될까?

일을 하다가 수표를 받거나 사용하게 될 일이 생기면 아마 사람들은 꽤나 당황할 것이라 생각합니다. 일반 화폐처럼 그냥 막 쓸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생긴것도 매우 생소하기 때문입니다. 게다가 자기앞수표 유효기간이라는 것이 존재할 것이라고는 생각도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
 

 

자기앞수료 유효기간은?

  • 수표 발행일로부터 10일

 

유효기간이 지나도 문제 없어요.

자기앞수표 유효기간은 통상 10일입니다. 하지만 10일이라는 지급 제시기간이 종료되어도 실제로 사용하는 것에는 별다른 문제는 없습니다. 수표는 각 은행에서 발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은행에서 특별히 문제를 삼지 않는 이상 유효기간이 지나도 사용하는 것은 별다른 문제를 삼지 않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수표란?

비정액 수표도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10만원, 50만원, 100만원권입니다. 비정액권의 경우 금액 부분이 있어 있으며 발행 요청시 은행에서 금액을 별도로 표시해줍니다. 자기앞수표는 발행한 은행이 망하기 전까지느 지급이 보장됩니다.

 

사용 시 주의할 점은 타행 수표 사용 시 영업일이 지난 후 다음날 12시 30분이 되서야 현금으로 이체가 가능합니다. 그렇기 때문에 만약 금요일에 입금을 하면 화요일 12시 30분이 지나서야 이체가 가능합니다. 이는 분실 및 도난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. 앞서 말했듯이 자기앞수표 유효기간은 10일이고, 이 기간이 지나서도 실제로 사용은 가능하지만 정산이 완료될 때 까지 다소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.

 

반응형

'정보사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500칼로리 다이어트 식단 구성 방법  (0) 2020.12.07
유튜브 유투브 정확한 사용법  (0) 2020.11.06